암억제유전자
Published Online: May 31, 2020
요약
인류의 숙원인 암정복의 과제는 암세포의 분자 수준의 연구를 통하여 그 발생, 증식 및 전이기전을 규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암을 예 방하고 조기에 진단하며 개개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게 될 때 해결될 수 있다. 최근 암은 내인성 또는 외인성 인자들에 의한 세포내 유전자 이상의 결과로서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비정상적인 세 포 성장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암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암 유전자 (oncogene)이며 이들의 과다 발현, 전 좌 및 돌연변이 둥에 의한 암유전자의 활성화 (activation) 가 암발생에 기여하며, 다른 하나 는 암억제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 이 며 이들의 결손 및 돌연변이에 의한 암억제유전 자의 비 활성화 (inactivation)가 암발생 에 기 여 한다. 실제로 암은 다단계 (multistep)로 발생 한다는 가설이 암역학적 연구 또는 대장암의 모델 (그림 1-1)에서 입중되는데 이때 어떤 단 계에서는 종양 성장 촉진 유전자인 암유전자 의 활성화가 관여하고 어떤 단계에서는 종양 성장 억제 유전자인 암억제유전자의 비활성화 가 관여하게 된다. 현재까지 연구된 두경부암 의 모델 (그림 1-2)도 그림1의 대장암 모델과 이 점에 있어서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