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례

비혹을 보존한 매부리코 교정 2예

김정석1, 배교한1, 박태정1, 정태영1,*
Jung Suk Kim1, Gyo Han Bae1, Tai Jung Park1, Tae Young Jung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메리놀병원 이비인후과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Maryknoll Hospital, Busan, Korea
*교신저자: 정태영, 48972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121 메리놀병원 이비인후과 전화 :(051) 461-2692·전송 :(051) 462-9419 E-mail:handsjung@naver.com

© Copyright 2019 The Busan, Ulsan, Gyeoungnam Branch of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Sep 30, 2019; Revised: Nov 05, 2019; Accepted: Dec 10, 201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ABSTRACT

It is common to find a nose with a hump, lower nasal tip and a radix among Koreans. For better results, the patients also need lifting the nasal tip as well as augmentation of the dorsum, nasion after humpectomy. In such case, since the amount of autologous cartilage is often insufficient, alloplastic implant is mainly used for surgery. However, if the patient has a rejection of the prosthesis, preserving the hump may reduce the amount of autologous cartilage required for augmentation. By preserving the hump without removing it, we were able to reduce the amount of autologous cartilage needed for the operation and make satisfactory correction of the hump nose using only autologous cartilage. (J Clinical Otolaryngol 2019;30:276-280)

Keywords: 매부리코; 융비술; 비배확대술
Keywords: Hump nose; Rhinoplasty; Dorsal augmentation

서 론

매부리코란 비근점과 비첨을 연결한 가상선보다 콧등 이 돌출한 코로 정의 되며 이러한 돌출된 부위는 비골, 상외측비연골, 비중격연골의 상연으로 구성된다.1) 비배 의 이상 중에 비혹(nasal hump)으로 인한 매부리코 변형 은 한국인 중에서 드물지 않게 접할 수 있으며 큰 비혹 을 가진 환자들은 휘어져 보이기도 하며, 특히 여성의 매 부리코는 강하고 고집 센 인상을 주므로 교정을 원하는 여성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매부리의 교정방법에는 크 게 골부-연골부를 일체로 제거하는 일괄 곡비절제술(en bloc humpectomy)과 비중격과 상외측연골을 분리한 후 에 비혹을 이루는 비중격, 상외측연골을 따로 절제하는 성분 축소술(component reduction) 등 2가지 방법이 있 다.2-4) 한국인의 매부리코는 서양인과 달리 비혹이 작아 많이 튀어나와 있지 않고 비첨의 융기가 모자라고 비근 부를 포함하여 비배가 낮은 경우가 많아 비혹을 제거한 이후 융비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은데,5) 이런 경우 자가 연골만을 이용해서 수술하기에는 연골의 양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환자가 원하는 정도의 융비술을 위해서는 인공삽입물(alloplastic implant)이 주로 사용된다. 하지 만 환자가 인공삽입물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 한정 된 자가연골을 이용하여 융비술을 시행할 수 밖에 없다. 이런 경우 비혹을 보존한다면 융비술에 필요한 자가 연 골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저자는 비중격에서 채취한 연골 을 가공한 뒤 비혹을 보존하면서 이를 이음새로 이용해 서 비근부 확대술(radix augmentation) 및 비배확대술 (nasal dorsum augmentation)을 시행하였고(Fig. 1) 만족 할 만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수술방법 및 경험을 소개 하고자 한다.

jcohns-30-2-276-g1
Fig. 1. Schemtic diagram of hump nose (A). Diagram of surgical procedure. Preserving hump, septal cartilage (hatched) is placed on radix, dorsum and nasal tip (B).
Download Original Figure

증 례

증례 1

20세 남자 환자가 전반적인 매부리와 낮은 비근부에 대한 불만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과거력상 1년 전 본 원에서 비극제거술(limited septoplasty) 시행받았다. 이 학적 검사 상 비혹 및 낮은 비근 확인할 수 있었으며(Fig. 2A)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에서 isolated hump 및 비중격에서 채취할 수 있는 연골의 양이 충분할 것이라 는 판단하였다(Fig. 2C). 환자에게 매부리코 교정을 위 해 비중격 연골 채취(submucous resection of the septum) 및 채취한 연골을 이용한 융비술, 비주지주술식 (strut)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은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jcohns-30-2-276-g2
Fig. 2. Preoperative lateral view (A). Lateral view after 8 months of surgery (B). Preoperative non-enhanced computed tomography images. Sagittal image showing an instance of abrupt protrusion of a small hump (white arrow) on the dorsal line. The approximate amount of septal cartilage (white asterisk) can be calculated from the sagittal view. (C) The design for augmentation of radix (D) and dorsum (E).
Download Original Figure

수술은 전신마취하에 시행되었으며 최대한 비혹을 제 거하지 않고 남겨둔 채 비중격 연골을 가공하여 융비술을 시행하였다. 개방형 접근술(open rhinoplasty approach) 을 통해 외비를 구성하는 하외측비연골, 상외측 비연골, 연골성 비중격을 포함한 비배부와 양측 비골부까지 충 분한 노출을 통해 시야를 확보하였다. 편위된 비중격 교 정 및 연골의 채취는 양측 하외측비연골 사이의 막성 중 격(membranous septum)을 박리하여 미측 중격(caudal septum)을 찾고 점막연골막을 박리하고 비중격연골과 사골 수직판-서골의 연골을 분리시킨 후 양측 점막골막 을 박리하고 L-strut을 보존하면서 비중격 연골을 절제 하였다. 채취한 연골은 환자의 미간 높이에서부터 비혹 까지의 길이, 비혹에서부터 비첨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잘랐다. 비근부에 이식되는 연골은 비혹 및 비골과 연골 이 잘 맞을 수 있도록 가공을 하였다. 비혹의 높이에 맞 춰 연골을 둥글게 말아서 2 layer로 이식하였으며 비배 부는 비혹과 이식되는 연골이 맞닿는 면을 비혹의 경사 에 맞춰 다듬은 뒤 2 layer로 이식하였다(Fig. 2D, E).

환자는 수술 후 1개월, 6개월째 외래 방문으로 염증 발생 여부 빛 기타 합병증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특이한 소견은 없었다(Fig. 2B).

증례 2

18세 남자 환자로 비폐색 및 매부리코에 대한 불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중학생 때 친구와의 다툼 으로 주먹으로 코를 맞은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그 외 특 이 병력은 없었다. 이학적 검사 및 컴퓨터 단층촬영(OMU CT)에서 우측으로 편향된 비중격 만곡 및 pseudo hump 관찰 되었다(Fig. 3A, C). 환자에게 비중격 교정 및 비중 격 연골을 이용한 비중격 확장 이식과 융비술, 비주지주 술식, 중첩이식(onlay graft)을 이용한 비첨부 성형술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은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jcohns-30-2-276-g3
Fig. 3. Preoperative lateral view (A). Lateral view after 3 weeks of surgery (B). Preoperative non-enhanced computed tomography images. Sagittal image showing a low radix with under-projected nasal tip (C). The design for augmentation of radix (D) and dorsum (E).
Download Original Figure

수술은 증례 1의 환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중격 연 골을 채취하였다. 비근점 융비술의 경우 채취한 연골에 세로로 절개를 가하여 오목하게 만들어 1 layer로 비골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며 비배부는 증례 1의 환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식하였다(Fig. 3D, E). 비배부융비술 후 낮고 처진 코끝이 더욱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연장이식(septal extended graft) 및 모자이식(cap graft)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수술 2개월 뒤 추적관찰 소 실되었으며 수술 6개월 뒤 유선조사를 통해 특이소견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B).

고 찰

한국인의 매부리코는 대체적으로 비혹이 작아 많이 튀 어나와 있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비배와 비첨을 가지 고 있다.5) 보통 환자들은 미용적으로 돌출된 비배 부분 을 없애고 동시에 전반적으로 낮은 콧대를 높이려고 한 다. 따라서 곡비교정은 단순히 hump만을 제거해서는 만 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비첨부의 교정, 비배부 의 융비, 비전두각의 개선을 위해 비근점부위의 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절제 보다는 보존적으로 해야 하며 외 비 구조의 강화와 융비술을 통해 미적, 기능적으로 훌륭 한 코를 만들어야 하겠다.

융비술 및 비첨성형을 위해 자가연골만을 이용해서 수술하기에는 연골의 양이 부족한 경우가 많으며 만족 스러운 융비술을 위해서는 실리콘 등의 인공삽입물이 주로 사용된다. 실리콘 등의 인공삽입물을 사용하면 감 염이나 탈출, 피부 변색이나 괴사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환자가 합병증 및 인공삽입물 자체에 대한 거 부감이 있다면 비혹을 보존하여 융비술에 필요한 자가 연골의 양을 줄여서 자가 연골만을 이용하여 곡비교정 을 할 수 있다. 비혹을 남기고 비중격에서 채취한 연골 만으로 가공을 통해 비혹을 이음새로 이용해서 비근부 확대술(radix augmentation) 및 비배확대술(nasal dorsum augmentation)을 하여 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 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골부의 비혹을 제거했 을 경우, 양측의 상외측비연골과 비중격이 각각 분리되 어 비배부가 매끄럽지 못하고 상외측비연골과 비중격이 이루는 비밸브의 각도에 영향을 주어 수술 후 호흡장애 를 일으킬 수 있으며 상외측비연골의 과도한 제거로 인 해 열린지붕변형(open roof deformity)이 발생할 경우 비절골술 등의 추가적인 시술이 필요할 수 있는데 비혹 을 남김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 지만 비혹과 맞닿는 면에 맞추어 연골을 가공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정확하게 재단되지 않을 경우 이식물이 들 뜨거나 돌출될 수 있으며 가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모든 환자에서 비혹을 남기고 비중격 연골만을 이용 하여 융비술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자가연골은 이식편 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있어 절대적인 연골 의 양이 부족하여 어쩔 수 없이 인공보형물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비중격에서 채취할 수 있는 연골의 양 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하게 수치적으로 계산하기는 어 렵지만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검사를 통해 비중격 연 골의 양을 어느정도 예측할 수 있으며, 수술 전 환자의 코 모양 및 환자가 원하는 코 모양, 곡비의 유형 등을 종 합적으로 평가하여 자가 연골만으로 수술 할 수 있는지 판단해보아야 한다. 또한 이마가 편평하면 수술 후 비전 두각이 증가하여 코가 길어 보일 수 있어 전체적인 얼굴 모양과 안면을 수평 삼분할 한 길이도 고려해야 한다. 증례 1 환자의 비전두각은 술 전 125°에서 술 후 130°, 증 례 2 환자는 술 전 141°에서 술 후 145°로 비전두각이 둔 화되었으나 미적으로 조화롭지 못하거나 환자가 불만을 표시하지는 않았다. Jang6)은 곡비의 유형을 3가지로 나 누었는데 첫 째는 generalized hump로 주로 백인들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골부에서 연골부까지 이르는 길고 완만한 경사의 비혹으로서,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두 번째는 isolated hump로 비혹이 짧고 비공점 근 처에서 삼각형 또는 둥근 모양으로 비배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주로 외상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세 번째는 낮은 비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성 비혹으로 나누었다. 이 세가지의 hump 유형 중에 generalized hump의 경우 는 비혹이 크기 때문에 비혹을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 융 비술을 시행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코가 너무 커 보이거 나, 너무 높아져 사자코(lion nose) 모양이 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연골이 필요해서 비중격에서 채취한 연골만 으로는 융비술 및 비첨성형이 불가능 할 수 있다.7) 또한 비중격 만곡이 심하여 많이 휘어지거나 변형되고 탄력 이 없는 얇은 비중격 연골을 가진 환자들은 이식편으로 사 용할 수 있는 비중격 연골의 양이 적거나 가공이 힘들다.

비혹을 제거하지 않고 연골을 이식물로 넣어주기 때 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이식된 연골이 흡수되어 비혹의 모 양이 다시 보이거나 비혹과 이식된 연골의 이음부가 도 드라져 보이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는데 본원의 증례에 서는 이러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추적관 찰 기간이 6개월 밖에 되지 않아 향후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그러 나 피부가 얇지 않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을 시행한다 면, 이러한 부분은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모든 경우에서는 이용할 수는 없지만 연골 의 양이 충분하고, 사비가 없으며 피부가 두꺼운 경우에 는 비혹을 제거하지 않고 비중격 연골만을 이용해서 만 족스러운 융비술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Sullivan MJ, Krause CJ. Surgery of the bony and cartilaginous dorsum. Otolaryngol Clin North Am 1987;20(4):825-35.

2).

Ishida J, Ishida LC, Ishida LH, Vieira JC, Ferreira MC. Treatment of the nasal hump with preservation of the cartilaginous framework. Plast Reconstr Surg 1999;103(6):1729-33.

3).

Rohrich RJ, Muzaffar AR, Janis JE. Component dorsal hump reduction: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dorsal aesthetic lines in rhinoplasty. Plast Reconstr Surg 2004;114(5):1298-308.

4).

Arslan E, Aksoy A. Upper lateral cartilage-sparing component dorsal hump reduction in primary rhinoplasty. Laryngoscope 2007;117(6):990-6.

5).

Jin HR, Won TB. Nasal hump removal in Asians. Acta Otolaryngol Suppl 2007;(558):95-101.

6).

Jang YJ, Kim JH. Classification of convex nasal dorsum deformities in Asian patients and treatment outcoms.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11;64(3):301-6.

7).

Lee HI, Jung HW, Joo JB, Cho JE, Kim JY. Correction of Hump Nose Radix Augmentation with Silicon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0;53(8):48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