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후두근전도의 임상적 적용

정수연1, 정성민1,*
Soo Yeon Jung1, Sung Min Chung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교신저자: 정성민, 07985 서울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 비 인후-두경 부외과학교실 전화: (02) 2650-6163· 전송: (02) 2653-5135 E-mail: sungmin@ewha.ac.kr

© Copyright 2016 The Busan, Ulsan, Gyeoungnam Branch of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May 31, 2020

요약

후두근전도는 후두기능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중 신경생리학적 검사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 고 있다.1)근전도는 신경이 근육으로 자극을 전달할 때 수축 시 발생하는 활동전위를 세포 외 전극과 근전도 기계를 이용하여 기록한 것으로 이것을 통해 근육 및 신경지배상태를 알 수 있다. 후두근전도는 1940년대 Weddel 에 의하여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1968년 Hirano 등이 성대마비의 원인 진단에 유용성을 보고하였다.2,3) 1980년대 Blitzer 등이 보툴리눔 독소의 주입에 후두근 전도를 이용하며 임상적 적용영역이 점차 확대되었으 며, 4) 1990년대에 성대 고정 이외에도 성대미세운동성 장 애, 기능장애의 평가로 영역이 확대되었다.5,6) 과거에는 성대 고정의 원인을 감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으 나 적용 영역이 확대되어 미세 후두운동 장애의 감별, 치 료 약물의 주입, 수술 중 후두신경감시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후두근전도의 시행 방법 또한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 유발전위를 이용한 검사 등 점차 다양해 지고 있 다.7-9) 본문에서는 후두근전도의 임상적 사용과 각각의 적응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Keywords: 후두근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