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설

음성 및 후두 질환에서 A형 보툴리눔 독소의 적용

장민지1, 이윤세1, 왕수건1, 이병주1,*
Min-Ji Jang1, Yoon Se Lee1, Soo-Geun Wang1, Byung-Joo Lee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비인후과학교실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Medical Research Institute, Busan, Korea
*교신저자: 이병주,602-739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 비 인후과학교실 전화: (051) 240-7335· 전송: (051) 246-8668 E-mail: voicelee@pusan.ac.kr

© Copyright 2012 The Busan, Ulsan, Gyeoungnam Branch of Korean Society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May 31, 2020

요약

흔히 ‘보톡스’라고 불리는 보툴리눔 독소는 많은 사람 들에게 주름을 제거하거나 사각턱을 축소하는 등의 미 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사실 보툴리눔 독소의 역사는 상한 음식에서 시작되었다. 전 형적인 보툴리눔 독소는 상한 소시지에서 발생한 독소 에 감염된 환자들이 열이 없고 의식이 유지된 상태에서, 산동,타액 분비의 감소,사지 및 장의 근육 마비로 인해 심폐정지를 일으키는 점을 1820년 경 Justinus Kemer 가 기술하면서 주목 받기 시작되었으며 이 독소를 분리 하여 치료적 인 목적으로 사용하려고 하였다.1) 1897년 Van Ermengem 가 변질된 소시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Bacillus botulinus 라는 균을 동정하였고 2차 세계대전에서 생물 학적 인 무기 에 대항하기 위해 보툴리눔 독소를 정화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근육과 7丨율 신경 계의 과민성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독소의 치료적 인 유용성을 구체화하기 시작하였다2) 1970년대 초 미국 의 안과의사 Alan B Scott이 보툴리눔 독소를 임상적으 로 사용하기 위해 원숭이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작하였고 70 년대 후반에는 사시 환자롤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하였다.3) 이후 1985년 보툴리눔 독소는 안검경련과 사경 등과 같은 근긴장이상 질환에 조금씩 사용되기 시작하였 고 1989년 미국 FDA는 12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안검경련,사시 등 근긴장이상 질환에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을 정식으로 승인하게 되었다. 치료제로서 보툴리눔 독소의 역할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침샘 질환에서는 Frey 증후군,타액저류 (sialocele), 것 저작 증후군(first bite syndrome) 등에서 사용되고 있 으며,안면 마비 혹은 안면근 위축 등의 근육의 과다한 수축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다.4)후두질환에서는 주 로 과잉 또는 부적절한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질 환에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연축성 발성장애 (spasmodic dysphonia),안검연죽(blepharospasm),구강하악골근긴 장이상(oromandibular dystonia) 등이 있다. 그 외 후두 육아종(laryngeal granuloma),인두식도 경련(pharyngo- esophageal spasm),후성문부협작(posterior glottic stenosis) 등의 치료에서도 보툴리눔 독소의 적용이 시도되 고 있다.

Keywords: 보툴리눔 독소 A형; 후두질환; 발성장애; 근긴장성장애; 성대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