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3. 경고막 이관 내 카테터/실리콘 플러그 삽입술의 프로토콜

단계 시술 주의사항
1 마취 1:100,000 에피네프린과 리도카인 혼합액을 외이도에 주입하거나, 리도카인 크림이나 리도카인에 적신 패드를 고막 및 외이도에 충분히 적용하는 방법으로 국소마취를 시행한다.
2 삽입 재료 선택 환자의 이관내강에 맞는 크기의 카테터를 고르고 한쪽 끝을 세 갈래로 갈라서 tripod 형태로 제작하거나, 혹은 적절한 사이즈의 실리콘 플러그를 골라준다.
3 고막 절개 추골 앞쪽, 이관의 중이 내 입구부와 가까운 곳에 고막절개를 시행한다. 고막 절개 부위를 통해 이관 입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더욱 좋다.
4 카테터/실리콘 플러그 삽입 고막절개를 통해 카테터/실리콘 플러그를 삽입한다. 이 때 삽입하는 카테터나 플러그가 과도하게 추골이나 고막을 누르거나 젖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카테터나 플러그가 이관이 아닌 이관주위 air cell로 들어가거나, 중이강 내에서 구부러지면서 들어가고 있지는 않는지를 확인하면서 주의해서 삽입해야 한다.
5 상태확인, 종료 이관 내로 부드럽게 삽입되었다면, 고막 절개부를 팻치 등으로 덮어준 후 환자의 증상 호전 여부를 확인한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다면 삽입한 카테터 등을 다른 크기로 교체하여 재확인한다. 증상호전이 확인되었다면, 고막 절개부에 환기관 삽입술 혹은 팻치술을 시행하고 수술을 종료한다. 이후 고막 절개부위의 회복,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혹은 지속, 증상의 호전여부 및 삽입술 후 불편감 등에 대한 주기적인 경과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