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2. 이관 풍선 확장술의 프로토콜

단계 시술 주의사항
1 마취 초기에는 전신마취로 많이 시행되었으나, 최근에는 비강내 국소마취나 수면마취하에도 시행되고 있다. 국소마취는 1:100,000 에피네프린과 리도카인의 혼합용액에 적신 패드를 비강 내에 채워넣어 비강 마취를 시행하는 것이며, 술자에 따라 리도카인 크림이나 에피네프린과 리도카인의 혼합액을 이관의 비인두 입구부에 적용 혹은 주입하기도 한다.
2 이관 풍선 확장기구 확인 이관 풍선 확장기구(풍선 카테터 및 풍선 확장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풍선부에 손상은 없는지 등을 먼저 확인하고 연결한다.
3 풍선 카테터 삽입 0도 및 30도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카테터의 끝부분과 이관의 비인두 입구부, 이관 내강을 보면서 카테터를 부드럽게 삽입한다. 또한 풍선 카테터가 이관의 연골부 이상으로 과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풍선 카테터의 표지(marker, 약 2 cm 지점)까지만 삽입하여야 한다. 술 중 카테터가 이관 내로 잘 삽입되지 않는 경우, 무리해서 힘주어 삽입하면 가이드 카테터가 구부러지거나 튕겨지면서(kinking) 이관 입구부나 내강의 점막이 손상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이관 내강에 잘못된 공간(false lumen)이 생기거나 출혈, 수술부위 통증 및 흉터나 유착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삽입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술 전 CT 등에서 이상소견이 확인되었거나, 술 중 카테터가 계속해서 이관 내로 잘 삽입되지 않는다면 무리해서 밀어 넣지 말고 형광 투시술이나 내비게이션 등의 도움을 받아서 시행하는 것이 좋다.
4 풍선 팽창 및 유지 풍선 카테터가 바른 위치로 부드럽게 삽입되었다면, 풍선을 확장시켜 10–12 atm 압력으로 1–2분간 유지해준 뒤 감압한다.
5 풍선 감압, 이관 입구부 및 비강 확인, 종료 풍선이 제대로 감압되었는지 내시경으로 확인 후 풍선 카테터를 비강 내에서 제거한다. 이후 비내시경을 통해 이관의 비인두 입구부 및 비강 내에 출혈 및 이상소견이 없는지 확인하고 종료한다.
CT: computed tom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