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실 내 lidocaine 주입술과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비교 | |
[20] | Sakata et al. (1986), Japan | | Lid | NA | NA | NA | 효과있다: 42/47귀 | 변화없다 | 효과있다: 36/57귀 |
Dex | 효과있다: 21/21귀 | 변화없다 | 효과있다: 26/42귀 |
[10] | Ito et al (1991), Japan | 총 136명 - Lid: 75명 - Dex: 61명 | 4% Lid + Dex 2 mg (0.5 mL) | 4 – 5회 | 3 – 4일 | NA | Class A – C of vertigo control: 57% (AAOO criteria, [1972]) | NA | 이명효과 Excellent 39%, good 22% |
Dex 2 mg (0.5 mL) | 4 - 5회 | 1 – 2일 | NA | Class A – C of vertigo control: 80% (AAOO criteria [1972]) | 저음역 청력저하에서 더 효과적, 심고도난청에는 poor | 이명효과 Excellent 45%, good 29% |
고실 내 gentamicin 주입술과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의 비교 | |
[30] | Patel et al (2016), UK | 총 60명 - MP: 30명 - Gen: 30명 | MP 62.5 mg/mL | 2회 | 2주 | 24개월 | 어지럼 없다: 20 | PTA 평균 2.1 감소 | THI 평균 19.8 감소 |
Gen 40 mg/mL | 어지럼 없다: 19 | PTA 평균 6.4 감소 | THI 평균 21.3 감소 |
[34] | Harcourt et al (2019), UK | 총 46명 - MP: 22명 - Gen: 24명 | MP 62.5 mg/mL | 2회 | 2주 | 6, 24, > 48개월 (평균 70.8개월) | 급성 어지럼발작 횟수 감소(16.2 → 0.8) | NA | 두 그룹 모두 THI 평균이 치료 24개월째에 감소했다가 이후 48개월 이상의 장기간 경과관찰에서 약간 상승 |
Gen 40 mg/mL | 급성 어지럼발작 횟수 감소(18.3 → 1.0 # 장기간 경과 관찰에서 두 그룹 간에 차이 없이 치료효과 유지됨 | NA |
[38] | Gabra et al. (2013), Canada | 총 89명 - MP: 42명 - Gen: 47명 | MP 62.5 mg/mL | 3회 | 1주 | 6 – 12개월 | Class A in vertigo control: 48.1% | PTA 평균 7.6 증가 | Tinnitus control: 68% |
Gen 26.7 mg/mL | Class A in vertigo control: 82.9% # 두 그룹 간 뚜렷한 차이 보임(p=0.004) | PTA 평균 6.6 감소 # 두 그룹 간 뚜렷한 차이 없음 (p=0.06) | Tinnitus control: 27.3% # 두 그룹 간 뚜렷한 차이 보임(p=0.002) |
[29] | Casani et al. (2012), Italy | 총 60명 - Dex: 28명 - Gen: 32명 | Dex 4 mg/mL | 3회 | 3일 | 24개월 | Class A – B in vertigo control: 17 (60.8%) | PTA 평균 0.5 감소 | NA |
Gen 27.6 mg/mL - 1회: 19명 - 2회: 13명 | 1 - 2회 | >20일 | Class A – B in vertigo control: 30 (93.8%) # 두 그룹 간 뚜렷한 차이 보임(p<0.01) | PTA 평균 5.8 증가 # 두 그룹 간 의미있는 차이 없음 (p>0.05) | NA |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과 Placebo 및 보존적치료의 비교 | |
[39] | Garduño- Anaya et al. (2005), Mexico | 총 18명 - T: 11명 - C: 7명 | T: Dex 4 mg/mL | 5회 | 1일 | 24개월 | Class A–B in vertigo control: 11 | PTA 평균 2.2 감소 | THI 평균 37.8 감소 |
C: Pla | Class A-B in vertigo control: 4 | PTA 평균 0.5 감소 | THI 평균 41.2 감소 |
[56] | Silverstein et al (1998), USA | 총 20명 | T: Dex | 3회 | NA | NA | Caloric test상 변화 없음 | PTA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THI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C: Pla | Caloric test상 변화 없음 | PTA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THI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9] | Paragache et al. (2005), India | 총 40명 - T: 20명 - C: 20명 | T: Dex (0.20 mg/ mL, 5 방울)을 VTI통해 3개월간 점적 | - | - | 1, 3, 6개월 | Vertigo control: 9명 (45%) (Sakata’s criteria) | PTA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이명 완전 소실 2(10%), 이명 호전 12명(60%) |
C: 보존적 치료 ± 급성기 증상조절약물 or betahistine 유지치료 | 1, 3, 6개월 | Vertigo control: 8명(40%) # T, C 모두에서 경과관찰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양상 | 이명 완전 소실 3명(15%), 이명 호전 10명(50%) |
[8] | Albu et al. (2015), Italy | 총 59명 - T: 30명 - C: 29명 | T: IT Dex (4 mg/mL, 1 mL)+ PO pla | 3회 | 1일 | 12개월 | Class A-B in vertigo control: 21 (66.6%) | PTA 평균 유의미한 변화 없음 | THI 평균 5.1 감소 |
C: IT NS (1 mL) + PO Bet (144 mg/day) | Class A-B in vertigo control: 17 (58%) | THI 평균 4.9 감소 |
[27] | Molnár et al. (2021), Hungary | 총 70명 - Bet + Dex: 35명 - Bet: 35명 | IT Dex 4 mg/mL + PO Bet 72-144 mg | 5회 | 1일 | 54.4개월 (13.76-68.17) | 두 그룹 간에 급성 어지럼 발작의 발생(occurrence) 및 빈도(frequency)에 유의미한 차이 없음 | NA | NA |
PO Bet 72-119.6 mg | 48.87개월 (12.43- 61.3) | NA | NA |
고실 내 스테로이드 주입술 후 치료결과 분석 | |
[26] | Pradhan et al. (2017), India | 총 30명 | Dex 4 mg/mL, 0.3-0.5 mL | 3회 | 1주 | 27개월 (3-48) | DHI 평균 감소 (p=0.49) 어지럼 없는 환자수 경과관찰 길어질수록 감소 | PTA 평균 증가 (p=0.25) | |
[40] | Memari et al. (2014), Iran | 총 100명 | Dex 4 mg/mL, 0.4-0.5 mL | 3회 | 1주 | 3주 | NA | PTA 평균 7 감소 (p<0.05) | THI 평균 9 감소 (p<0.05) |
[42] | She et al. (2015), China & USA | 총 17명 | MP 20 mg, 0.5 mL | 10회 | 1일 | 6 > 24개월 | Class A-B in vertigo control: 94%(6개월), 81%(24개월), 70%(36개월) | PTA 평균이 6개월 후 감소, 2년후 다시 증가. 이러한 변화는 청력 stage에는 영향 없음 | 3명에서 호전, 2명은 2년 후에도 호전된 상태 |
[43] | Masoumi et al. (2017), Iran | 총 69명 - Dex: 36명 - MP: 33명 | Dex 4 mg/dL | 3회 | 1주 | 1-6개월 | Class A-B in vertigo control에서 두 그룹 간 차이 없음 | PTA는 Dex보다 MP를 주입한 군에서 더 향상됨 (p=0.006) | NA |
MP 40 mg/dL |
[41] | Jumaily et al. (2017), USA | 총 18명 | Tri 40 mg/mL ± Dex 4 or 10 mg/mL | 4.8회 (2-19) | NA | 41개월 (1-101) | Vertigo control: 74.7% | 청력변화 불명확(40%는 변화없음, 40%는 저하, 20%는 향상) | NA |
[54] | Yu et al. (2020), China | 총 201명 - T1: 75명 - T2: 73명 - C: 53명 | -T1: IT Dex, 4회 | 4회 | 1주 | 3개월 | DHI 점수는 T1, T2에서 C에 비해 감소 (p<0.01), 메니에르병 후기보다 초기에 더 감소(p<0.05), Caloric test canal paresis value 초기 T1, T2에서 감소, VEMP에서는 유의미한 차이 없음 | NA | NA |
-T2: IT Dex, 8회 | 8회 | 1주 |
- C: 생활습관교정 및 약물치료 | | |
[48] | Beyea et al. (2017), Canada | 총 106명 | T1: 10분 간격으로 Dex 10 mg/mL, 2회 주입 | 1회 | | 35개월 (29일- 7.3년) | NA | 치료전과 가장 마지막 PTA상 평균 8.27 증가(p<0.0001), T1, T2간에는 PTA 차이 없음 | NA |
T2: 위와 같음 | 4-29회 | 1주 | NA | NA |
[49] | Leng et al. (2016), China | 총 51명 | IT Dex 5 mg/mL - single: 37명 - multiple: 11명 | 1회 | | 26개월 (14-77) | Class A in vertigo control이 1회 주입보다 2회 이상 주입시에 15.7%씩 감소 | PTA 변화 없음 (p>0.05) | NA |
2-4회 | 6-50개월 | NA |